2014-11-20
경기도교육청 교사의 교수능력과 연구능력의 전문성 추구하고 있나?
“경기도교육청 교사의 교수능력과 연구능력의 전문성 추구하고 있나? ”
- 2012~2013년 연구년 교사의 관리와 평가에 있어 문제 심각성 드러나 -
● 교원연구년 교사평가결과 2012년 299명 중 4명, 2013년 366명 중 3명만 90점이상 평가받아
교원연구년제는 경기도교육청 초·중·고 교원의 교직에 대한 전문성 심화 기회를 제공하고 교원의 사기진작 차원에 도입되었고 연구년 교사들의 교수능력과 연구능력의 질 향상을 목적에서 매년 시행해왔으나 평가결과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경기도교육청의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사실은 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 서진웅 의원(새정치민주연합·부천4)이 경기도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 질의에서 나타났다.
서진웅 의원에 따르면 교원연수년제 시행에 있어 최근 3년간 연구종류별 모집인원 및 선발현황을 보면 일부영역지원자의 부족 및 연구역량 부족으로 과락이 적용되어 모집영역별 모집인원 대비 선발인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1) 최근 3년간 연구종류별 모집인원 및 선발 현황
연도별 현황 영역 |
2012년 |
2013년 |
연도 영역 |
2014년 | |||
모집 |
지정 |
모집 |
지정 |
모집 |
지정 | ||
창의지성(문화예술)교육 |
60 |
61 |
100 |
98 |
교육내용재구성 |
50 |
59 |
배움중심학습 |
44 |
44 |
100 |
100 |
배움중심수업 |
50 |
48 |
교육과정/교수학습 |
76 |
84 |
- |
- |
평가혁신 |
25 |
13 |
평가혁신 |
- |
- |
40 |
32 |
문화예술교육 |
20 |
26 |
생활인권 복지(평화교육) |
30 |
32 |
40 |
40 |
민주시민교육 |
32 |
28 |
진학 및 진로교육 |
14 |
13 |
20 |
22 |
학생생활 및 인권교육 |
35 |
41 |
학교조사 연구 |
16 |
16 |
12 |
12 |
진로교육 |
20 |
12 |
교감전형 |
10 |
7 |
8 |
0 |
자유주제연구 |
20 |
40 |
현장헌신교사 |
30 |
22 |
40 |
31 |
교과연수년 연구 |
25 |
8 |
정책리더과정 |
20 |
20 |
40 |
31 |
정책리더과정 |
20 |
20 |
|
|
|
|
|
경기혁신교육정책연구 |
35 |
26 |
|
|
|
|
|
혁신학교일반화연구 |
68 |
37 |
계 |
300 |
299 |
400 |
366 |
|
400 |
358 |
2012년~2013년 교원연구년 교사 평가 결과 분포 현황자료를 보면
2012년은 299명의 연구년 교사 중 90점 이상 평가받은 교사는 단 4명이고, 80점 이상은 14%, 70점 이상 평가받은 교사는 전체 연구년 교사의 52.2%에 불과하고 47%인 143명이 60점 미만의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은 366명의 연구년 교사 중 90점이상 평가받은 교사는 단 3명이고, 80점 이상은 14.7%, 70점 이상 평가받은 교사는 전체 연구년 교사의 76%로 드러났다.(70점 미만은 88명이나 됨)
참고2) 2012~2013년 NTTP 교원연구년 교사 평가 결과 분포 현황
구분 |
2012년 |
2013년 | ||||||
|
초등 |
중등 |
소계 |
누계비율 |
초등 |
중등 |
소계 |
누계비율 |
90점이상 |
4 |
0 |
4 |
|
1 |
2 |
3 |
|
80점~90점미만 |
19 |
19 |
38 |
14% |
31 |
20 |
51 |
14.7% |
70점~80점미만 |
57 |
57 |
114 |
52.2% |
106 |
118 |
224 |
76.0% |
60점~70점미만 |
68 |
75 |
143 |
|
46 |
42 |
88 |
|
계 |
148 |
151 |
299 |
|
184 |
182 |
366 |
|
또한 서진웅 의원에 의해 제시된 연구년 교사의 학술대회 및 각종 발표대회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연구년 교사들이 1년간 연구년기간동안 각종 학술대회 및 각종 발표대회에 참여하는데 참가자가 2012년 25.8%, 2013년 7.9%로 참으로 미미해 그 의미를 부여하기가 부끄러울 정도라 할 수 있다.
참고3) 연구년 교사의 학술대회 및 각종 발표대회 참여 현황.
연도 |
학술지 (발표) |
비율 |
교과 연구회 |
비율 |
도서출판 |
비율 |
공연전시 |
비율 |
계 |
총비율 |
2012년 |
401 |
13.4% |
18 |
6.0% |
3 |
1.0% |
16 |
5.4% |
77 |
25.8% |
2013년 |
15 |
4.1% |
5 |
1.4% |
6 |
1.6% |
3 |
0.8% |
29 |
7.9% |
서진웅 의원은 이와 같이 많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그나마 우수한 연구성과물에 대해서는 전 교원에게 공개해 교원연구년에 참여한 교사의 연구성과가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은 연구성과 전파관련 일선 학교 등에서 근무하는 교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에도 이를 안내하는 공문을 실제 발송한 건수가 없다고 말하고
교원연구년 운영 목적에 대한 경기도교육청의 인식 부족으로 질 높은 연구성과물 산출이 저조하고 연구년 교사 연구 성과 공유 및 현장활용이 저조한 것이 이런 결과를 가져왔음을 지적했다.
이에 경기도교육청 담당국장은 이에 대한 질 관리 등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고 교원의 재충전 및 전문성 신장의 혜택을 통한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책무성과 수시 보고서 평가 및 컨설팅, 보고회 개최를 통한 질 관리를 강화하겠으며, 연구년 교사의 우수 연구 성과물 산출을 위한 책임지도 및 지원활동과 연구년 교사의 연구 성과 공유 및 활용 확대를 위한 교사연구 모임, 홈페이지 등 네트워크 활성화를 이루겠다고 보고하고 연구년 교사들의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대회 및 도서 집필 등에 적극 참여 권장하고 단위학교 학습공동체 등 현장 적용을 위한 연구활동 및 현장 실천 지원하여 전문성 향상은 물론 모든 교원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출하겠다고 답변했다.
201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