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부적격·무허가 골재채취 여전히 난립, 골재수급 담당 부서도 중구난방

등록일 : 2014-11-19 작성자 : 언론홍보담당관 조회수 : 1209

불법·부적격·무허가 골재채취 여전히 난립

골재수급 담당 부서도 중구난방

경기도의회 장현국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수원7)

평균 2.4배 불법 골재채취 여전히, 무허가 7개 업체

하천 골재 채취 계획 없는데, 왜 하천과 업무인가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장현국 의원은 11.19() 건설국에 대한 2014년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내 불법·부적격·무허가 골재업체에 대한 단속의 시급성에 대해 지적하며, 도의 골재수급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의 부적합성에 대해서도 시정을 요구하였다.

도내 골재선별 파쇄업체 약 60개 업체 중 38개 업체는 신고부지 이외의 토지를 불법점용사용(평균 2.4)중에 있음. (제보 업체명단집행부에 전달)

경기도는 38개 불법점용사용업체 중 1[ 여주시 A업체 ]으로부터 최근 3년간(20122014) 여주가남 도로확포장 공사도로보조기층용으로 10,898 입방미터()의 골재를 사용하였으며, 내년에도 9,400 입방미터() 사용할 계획.

연도

2012

2013

2014

2015

순환골재

사용량()

6,690

3,431

777

9,400

또한 업체등록도, 골재채취 신고도 없이 골재채취법을 위반한 불법부적격 업체(제보건수 7개 업체)도 있음.

최근 1개 업체는 복구중에 있으며,

등록만 하고 골재채취 신고를 하지 않은 업체 : 4개 업체

등록도, 신고도 안 한 업체 : 2개 업체

시군

업 체 명

생 산 지 역

생산품목

골재채취법

위반

비고

등록

신고

경 기

남양주시

A 골재()

남양주시 가운동

   

   

   

복구 중

B 골재

(개인)

남양주시 가운동

부순모래

쇄석·자갈

×

×

개발제한구역

C 업체

남양주시 퇴계원면

부순모래

×

개발제한구역

하남시

D 업체

하남시 감북동

건식모래

×

개발제한구역

고양시

E 업체

고양시 도내동

부순모래

쇄석·자갈

×

×

개발제한구역

시흥시

F 골재

시흥시 미산동

쇄석·자갈

×

개발제한구역

골재야적장 적치허가

용인시

G 산업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쇄석·자갈

×

개발제한구역

그런데 더욱 심각한 것은 이렇게 골재채취법을 위반한 업체들이 거의 개발제한구역(GB)에 있다는 것임. 이에 대한 대책 강구를 주문함.

그런데 준비하는 과정에서 한가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발견했는데, 골재수급 및 관리 업무를 하천과에서 하고 있다. 맞죠?

작년 1224일 국토교통부에서 낸 향후 5년간(20142018) 골재수급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이라는 보도자료에 포함된 2014년 골재수급계획표를 보면,

- 경기도는 모래와 자갈을 대부분 산림에서 수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 1,730만 입방미터() 중 약 97.4%를 수급 ] 모래는 약 322만 입방미터, 자갈은 1,363만 입방미터 수급...

- 그런데, 하천바다에서는 전혀 수급 계획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음.

- 과거에도 수급한 실적이 없었고, 그리고 올해에도 하천에서 수급할 계획이 없었는데, 왜 이번 조직개편 때 골재수급 업무는 산림과로 갔어야 하는 것 아닌가?

혹시 2015년 골재수급 계획은 있는가? 그 계획에는 하천바다에서 골재수급을 할 계획은 있는가?

(없다면 업무분장을 산림과또는 다른 부서로 해야 할 것)

   

2014년도 골재수급계획 (단위 ; )

구 분

모 래

자 갈

합계

하천

바다

산림

육상

하천

바다

산림

육상

3,371

35,000

12,412

7,021

57,804

578

0

75,479

1,433

77,490

135,294

소계

0

9,000

3,218

156

12,374

0

0

14,628

300

14,928

27,302

서울

0

0

0

0

0

0

0

0

0

0

0

인천

0

9,000

0

0

9,000

0

0

1,000

0

1,000

10,000

경기

0

0

3,218

156

3,374

0

0

13,628

300

13,928

17,302

강원

   

15

0

1,412

1,749

3,176

498

0

4,402

702

5,602

8,778

충북

   

50

0

1,696

710

2,456

80

0

3,506

0

3,586

6,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