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교시설 개방 확대와 지원 대책 마련 촉구
1-1. 학교 운동장, 체육관, 주차장 등 공공시설의 개방 현황과 지역 주민이 체감하는 개방 수준 사이에 차이가 있음. 이러한 괴리가 발생하는 원인은?
1-2. 학교 공공시설 개방 필요성에 대한 교육감의 인식과 입장은?
1-3. 학교시설 개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관리 부담 등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은?
2. 학교 절수설비 및 기기 설치 대응 체계 구축 촉구
2-1. 학교 절수설비 설치 수요 조사 결과, 상당한 재정 부담이 예상됨. 이에 대한 경기도교육청의 재원 마련 대책은?
2-2. 절수설비 설치가 지연될 경우 과태료 부과 등 학교 현장의 피해가 우려됨. 이에 대한 교육청의 대응 방안은?
2-3. 학교가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산 지원과 함께 기초지자체와의 사전 협의 체계 구축이 필요함. 이에 대한 교육감의 입장과 구체적인 계획은?
3. 농어업ㆍ식품 분야 명장ㆍ명인 지원 방안 마련 촉구
3-1. 농어업·식품 분야 명장·명인은 전통 기술과 지역 고유의 식문화를 계승하는 핵심 주체임. 이에 대한 도지사의 인식과 향후 지원 방향은?
3-2. 전통 기술과 지역 식문화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경기도가 추진 중인 문화·농업 전승 측면의 지원 현황?
3-3. 명장·명인의 전문성과 기술력을 활용하여 농식품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산업적 지원 방안은?
4. 별내선 연장을 위한 경기도의 대응 방안 촉구
4-1. 별내와 송산권역은 지난 10년간 인구가 60% 이상 증가했지만, 교통 인프라 확충은 미흡함. 이에 대한 경기도의 문제 인식은?
4-2. 별내선 연장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재원 확보, 중앙정부 협의 등 주요 쟁점에 대해 경기도가 마련한 구체적 대응 방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