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경기도 '물산업' 육성 비전
1-1. 경기도 '수자원국' 신설을 통한 물 관리 컨트롤타워 구축:
현재 '수자원국'으로의 조직 개편 추진 현황과, 향후 경기도의 통합 물 관리 정책을 총괄할 컨트롤타워로서의 중장기 운영 계획
1-2. 규제의 땅에서 기후테크의 중심으로, '물 산업 클러스터' 조성:
경기 동부권(광주시)에 '물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에 대한 지사님의 비전과 기업 유치를 위한 경기도의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 방안, 그리고 중앙정부 및 민간과의 협력 모델 구축 계획
1-3. 미래 도시의 표준, 3기 신도시 'NEWater 50' 프로젝트 도입:
현재 3기 신도시 계획의 물 순환 정책 반영 현황 및 향후 추진 계획
2. '기후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경기도의 'RE100·탄소중립' 선도 전략
2-1. 3기 신도시, '탄소 제로 도시'로의 설계와 목표 상향: 3기 신도시를 'RE100 탄소중립 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목표상향방안, 별도의 재원 조달 방안 등 구체적인 계획
2-2. 건설산업 혁신, '모듈러 건축'의 전면적 도입: 건설산업의 혁신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모듈러 건축에 대한 도시자님의 비전과 구체적인 추진 방안
2-3. 경기북부의 미래, '평화경제특구'와 'RE100 특구'의 시너지 창출:
경기도의 구체적인 로드맵과 중앙정부 설득 전략
3. 4차 산업혁명 시대, 경기도의 스마트 도시행정 혁신
3-1. 데이터 통합과 과학적 행정, 건설을 넘어 도시 관리로: 산재된 행정 데이터와 3기 신도시의 BIM 데이터 등을 '경기도형 공간정보 통합 플랫폼'으로 연계하여, 화재·침수와 같은 재난 대응부터 노후 인프라 관리까지 도시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구체적인 계획과 로드맵을 제시
3-2. 산업과 행정의 융합: 3기 신도시, '스마트시티 리빙랩(Living Lab)'으로의 활용
3-3. 경기도의 미래, '디지털 트윈' 스마트도시로의 대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