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15
주요 민원 & 이슈 분석 '급증하는 1인가구의 증가와 이에 따른 대책'
[급증하는 1인가구의 증가와 이에 따른 대책]
*1인가구의 현황
최근 국내는 전체가구 유형 중 1인 가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경기도는 1인가구의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고,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2021년 전국 1인가구 717만 가구 중 경기도는 154만 가구로 전국 1인가구이 21.5%를 차지하고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고, 도내 전체가구 중 29.2%의 가구가 1인가구로 생활하고 있음
- 도내에서는 30대가 전체 1인가구의 19.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20대(17.2%), 50대(16.6%), 60대(15.8%) 등으로 분포됨
*1인가구 정책 필요성
- 경기도의 1인가구 수는 2020년 140만에서 154만으로 몇 년 사이에 14만명나 증가하는 등 빠르게 느는 추세로 2047년에는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중 37.3%로 높아질 전망
- 대부분의 1인가구는 직장, 독립 등의 이유로 혼자 살게 됐는데 최근 그 수가 크게 늘면서 이들이 안전, 외로움, 빈곤 등의 문제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음. 특히 1인가구 중 60대의 비중도 높아 노년 1인 가구의 빈곤율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고독사도 2017~2021년 전국 고독사 중 전국1위 21.1%가 경기도 거주자임
○ 또한 1인가구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이하)은 47.2%로 전체인구 빈곤율(15.3%)에 비하면 3배이상 높고, 평균 연령 90세 시대까지 다가온 시점에 가속화 되는 고령화 속에서 1인 가구 급증과 빈곤층 확산 문제가 화두로 떠올랐음
*경기도 1인가구 지원정책
○ 2023년 경기도 제1차 1인가구 지원 5개년 기본 계획(2023~2027)을 수립 및 계획 발표
- 2022년 7개 정책분야, 17개 추진과제(`2022년 예산 1,076억원
2023년 6개 영역, 12개 정책과제, 37개 세부과제 (`2023년 예산 8,885억원
- 1인가구 공동체 공동부엌 지원사업과 식생활 개선다이닝 프로그램으로 건강한 식습관 권장 및 삼시세끼 행복나눔터 운영을 통해 1인가구에 고품질 식사 제공하고 마음돌봄 전화상담과 건강돌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정신적, 육체적 건강증진 도모
- lot 기반 범죄예방 및 대응시스템 구축으로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 및 청년 경기 행복주택 보급을 통하여 도 내 청년 주거비 부담 경감 및 주거안정 환경 제공
- 어르신 인생노트 사업과 무연고자 사망자 상속재산 공공관리인을 통한 통합 웰다잉(Well-dying)교육을 진행하고 올해부터 ‘1인가구 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와 여성 1인가구안심패키지 보급 사업을 진행 등 1인가구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 및 지원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 가능합니다.
2023-05-15